상품 분류 | 상품 구조 | |
---|---|---|
ELS(ELB)/DLS(DLB) | Step Down | 조기상환 관찰일에 기초자산의 가격이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하는 경우 원금에 약정한 수익률로 상환해주는 구조 |
Step Up | 조기상환 관찰일에 기초자산의 가격이 일정 수준 이하를 유지하는 경우 원금에 약정한 수익률로 상환해주는 구조 | |
월지급식 | 조기상환 관찰일에 기초자산의 가격이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하는 경우 원금을 지급하여 상환하고, 매월 관찰일에 기초자산 가격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면 매월 약정한 이자를 지급하는 구조 | |
Knock-Out | 기초자산의 가격이 만기까지 일정 수준을 벗어나지 않는 경우 원금에 기초자산의 수익률만큼 상환해주며, 일정 수준을 벗어나는 경우 원금에 고정 수익률을 지급하는 구조 | |
ELW | Cliquet | 각 관찰일 마다(대개는 매월) 기초자산을 관찰하고, 관찰된 수익률을 누적하여 만기에 상환하는 구조 |
기타 | 헷지를 위한 Back-to-Back 종목 및 기타 장외파생상품 |
상품 분류 | 상품 구조 |
---|---|
전환사채 (CB) | 고정 수익률을 지급하는 사채권과 기초자산가격 상승 시 사채권을 발행회사의 신주로 전환하여 시세차익을 추구할 수 있는 주식옵션이 혼합된 구조로 주식옵션 행사 후 사채권은 소멸 |
교환사채 (EB) | 전환사채와 동일한 구조이지만, 주식옵션 행사 시, 발행회사가 보유한 기발행 주식으로 교환할 수 있는 구조 |
신주인수권부사채 (BW) | 고정 수익률을 지급하는 사채권에 발행회사의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구조 |
상품 분류 | 상품 구조 |
---|---|
FRN | 최근 국내외 시장에서 발행되는 구조의 상품(장단기기준금리연동 FRN, Inverse FRN, Dual Indexed FRN, Quanto FRN, Digital, Range Accrual Note, Spread Accrual Note, Power Spread, Steepener, Reverse Convertible등) 및 다양한 파생상품이 내재된 구조화상품의 평가 |
Swap | Plain Vanilla Swap(IRS,CRS,FX Swap), Amortizing Swap, Structured Swap, KTB Linked Swap 등의 Swap에 대한 평가 |
Option | Interest Rate Cap/Floor, Swaption 등의 일반적인 이자율옵션상품과 구조화상품 및 Exotic Payoff에 내재된 Exotic Option 에 대한 평가 |
상품 분류 | 상품 구조 | 상품 분류 | 상품 구조 |
---|---|---|---|
CDS | 보장매입자가 일정한 프리미엄을 지급하는 대가로 기초자산의 채무불이행, 신용도 하락 등 신용사건이 발생할 경우 보장제공자로부터 손실액을 지급받는 계약 | CLN | 일반채권에 CDS를 결합하는 방법으로 추가적인 신용위험을 부가하고 그에 따라 증가된 위험을 높은 이자로 보상하는 채권 |
Basket Swap | 기초자산의 발행기관이 다수라는 점이 CDS와 다르고 신용사건이 발생한 기초자산 발행기관의 수가 사전에 합의된 수준에 이를 경우, 손실을 보상하고 계약이 종료 | Basket CLN | 단순 CLN형태와 구조는 유사하나 부가되는 신용위험이 Basket CDS의 위험구조로 설계됨 |
Portfolio Swap | 기초자산의 발행기관 수가 많고 (50~100개)투자자들의 다양한 위험 선호에 따라 선순위(Senior), 중순위 (Mezzanine), 후순위(Equity)등 다양하게 발생 | Cash CDO | 기초자산을 매입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그 포트폴리오에서 발생하는 원리금을 배분하는 채권 |
CDS Index | DJiTraxx 등 CDS 지수상품이 거래 대상이며, 발행시 프리미엄과 거래시점의 시장가의 차이를 정산하는 계약 | Synthetic CDO | 일반채권에 CDS를 결합하는 방법으로 추가적인 신용위험을 부가하고 그에 따라 증가된 위험을 높은 이자로 보상하는 채권 |
CMCDS | 고정된 프리미엄을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지급되는 시점의 해당 만기 CDS프리미엄에 연동되어 주기적으로 결정되는 차이점 | Synthetic CDO2 | 신용파생상품의 증권화 및 Synthetic과정을 거쳐 발행된 투자등급 이상의 CDO를 집합하고자 재차 Structuring하여 발행된 증권 |